1831년 노기필(盧基弼) 준호구(準戶口)

ㆍ자료UCI: KNU+GWKSMC+KSM-XD.1831.4671-20180501.2017000258
URL
복사
복사하기
· 분류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작성주체 발급 : 담양부(潭陽府)
수취 : 노기필(盧基弼)
· 작성지역 담양부
· 작성시기 辛卯(1831)
· 형태사항 42.7 X 60.1 | 1장 | 종이 | 한자 | 낱장
· 인장서명 1 (적색, 정방형, 7.0*7.0, 潭陽府印)
1 (흑색, 장방형, 13.6*6.2, 周挾改字印)
· 원소장처 담양 광산노씨
· 현소장처 원주역사박물관

연결자료

안내정보

1831년(순조 31) 담양부(潭陽府)에서 신묘식년(1831)에 작성한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하여 유학(幼學) 노기필(盧基弼)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문서의 작성연도는 도광 10년(道光十年, 1830)으로 기재되어 있지만 주호 및 가족의 생년간지와 나이를 비교해 봤을 때, 문서에 기재된 연도는 도광 11년(道光十一年, 1831)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노기필기해(1779)생으로 53세이고, 본관은 광산이다. 이름 앞에 환부(鰥夫)라고 기재된 것으로 보아 홀아비임을 알 수 있다. 거주지는 담양부 용천면(龍泉面) 청연리(淸淵里)로 지금의 담양군 용면 일대로 짐작된다. 가족으로는 아들 노석문(盧碩文)이 기재되어 있다.
노비는 도망간 여자종 1구(口)가 기재되어 있다.

상세정보

1831년(순조 31) 幼學 盧基弼이 53세 때 발급받은 준호구이다.
문서에 따르면 이 준호구는 신묘식년(1831)에 작성한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되었다. 그러나 문서의 첫 행에는 '道光十年(1830)'이라 기재되어 있으며, '도광십년(1830)'에 '신묘식년(1831)'의 문서를 참조할 수 없다. 따라서 주호 및 가족의 생년간지와 나이를 비교해 보아도 문서의 작성연도는 '道光十一年(1831)'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노기필기해(1779)생으로 53세이고, 본관은 광산이다. 이름 앞에 鰥夫라고 기재된 것으로 보아 홀아비임을 알 수 있다.
거주지는 담양부 龍泉面 淸淵里로 통・호수는 기재하지 않았다. 문서를 보면 문서의 우측 일부가 결락되어 문서의 작성지역을 알 수 없으나 연관문서를 통해 담양부임을 알 수 있다. 담양부 용천면은 지금의 담양군 용면 일대로 짐작된다.
노기필의 사조를 살펴보면 부친은 學生 盧啓昌이고, 생부는 학생 盧啓明이며, 조부는 通政大夫 折衝將軍 行龍驤衛副護軍 盧漢鳳이다. 증조부는 학생 盧一玖이고, 외조부는 본관이 전주李世周이다.
노기필의 사조사항에 생부가 기재된 것으로 보아 입양된 것을 짐작할 수 있다. 노계창노계명은 형제관계로 생부인 노계명노계창의 아우이다.
노기필의 가족으로는 생년이 신사년(1821)이고, 나이는 11세인 아들 盧碩文이 기재되어 있다. 노석문은 이전에 작성된 문서에는 기재되지 않다가 1831년 문서부터 기재되고 있다.
노비는 도망간 여자종 1口가 기재되어 있다.
노비 기재사항 뒤에는 '戊子戶口相準印'을 적어 임오년(1828)의 호구와 비교・대조하였다고 적혀 있다.
문서의 좌측에는 行府使의 署押이 있고, 周挾改字印도 확인된다. 그리고 潭陽府印은 문서 우측에 기재한 연호 위에 날인되었다.
문서를 살펴보면 우측 하단부에 결락이 발생하였고, 상단과 하단의 가장자리 부분도 일부 훼손되었다.
참고문헌
권내현,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역사비평사, 2015
이기봉, 고지도를 통해 본 충청지명연구 2, 국립중앙도서관 도서관연구소, 2014
문현주, 조선후기 漢城府에서의 戶口單子·準戶口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古文書硏究42, 한국고문서학회, 2013
손병규, 호적, 휴머니스트, 2006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집필자 : 황은영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