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기영(李琦永) 호구단자(戶口單子)

ㆍ자료UCI: KNU+GWKSMC+KSM-XD.0000.4719-20160501.2015000263
URL
복사
복사하기
· 분류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작성주체 발급 : 이기영(李琦永)
수취 : 선산부(善山府)
· 작성지역 선산부
· 형태사항 52.4 X 62.8 | 1장 | 종이 | 한자 | 낱장
· 인장서명 1 (적색, 정방형, 7.0*7.0, 善山府印)
1 (흑색, 장방형, 15.0*4.0, 周挾改印)
· 원소장처 선산 덕수이씨
· 현소장처 오죽헌시립박물관

연결자료

안내정보

이 문서는 유학(幼學) 이기영(李琦永)이 24세에 작성한 호구단자이다.
문서에 따르면 이기영망장면(望章面) 예곡리(禮谷里) 제1통 제2호에 거주하고 있다. 이기영경자생으로 본관은 덕수이다. 이기영은 처 평산신씨(平山申氏)와 함께 어머니 창녕조씨(昌寧曺氏)를 모시고 살고 있다.

상세정보

이 문서는 幼學 李琦永이 24세에 작성한 호구단자이다.
문서에는 호의 주소와 주호인 이기영, 이기영의 사조사항, 모친 昌寧曺氏와 처 平山申氏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고, 소유한 노비 현황이 기록되어 있다.
문서에 따르면 이기영善山府 望章面 禮谷里 제1통 제2호에 거주하고 있다. 이기영경자생으로 본관은 덕수이다. 이기영의 사조사항을 살펴보면 부친은 學生 李敏復이고, 생부는 유학 李敏述이며, 조부는 학생 李載喆이다. 증조부는 通德郞 李曙이고, 외조부는 학생 曺觀奎로 본관은 창녕이다. 외조에 대한 사항을 어머니에 대해 기재한 후에 작성하고 있는 것이 특이하다. 사조에 기재된 생부 항목을 통해 이기영은 양자로 입양된 사실을 알 수 있다. 부친 이민복과 생부 이민술의 이름에 '敏'자를 항렬자로 사용한 것으로 보아 이기영의 입양의 형태는 동족친적간 立後로 추정된다.
이기영은 어머니 昌寧曺氏를 모시고 살았는데, 어머니 조씨계해생으로 당시 나이는 61세이다. 이기영의 처 평산신씨는 25세로, 이 문서에는 출생간지가 기재되지 않았으나 이전식년에 작성한 이기영의 호구단자를 보면 무술생임을 알 수 있다.
이기영의 소유노비는 仰役과 逃亡으로 구분하여 기재하고 있다. 앙역노비는 22구로 그 중 남자종 10구, 여자종 11구, 성별을 기재하지 않은 노비 1구가 있다. 연관문서를 보면 성별이 기재되지 않은 노비는 여자종임을 알 수 있다. 도망노비는 모두 2구가 기재되어 있는데, 남자종 1구와 여자종 1구이다.
문서를 보면, 호의 주소와 주호, 주호의 사조사항, 가족구성원에 대한 사항은 列書형식으로 기재하였고, 소유한 노비는 連書형식으로 기재하였다. 호의 주소에는 朱墨으로 선을 그었고, 호에 실제 거주하고 있는 인원을 기재한 행 첫머리에 朱點을 찍었다. 소유 노비 현황을 기재한 행의 첫머리에도 朱點을 찍었다. 府使의 署押과 官印, 周挾改印이 확인된다. 특히 行府使의 署押은 보통 한 번 날인하는데, 이 문서에서는 두 번 찍고 있어 특이한 사례로 보인다.
참고문헌
권내현,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역사비평사, 2015
문현주, 조선후기 漢城府에서의 戶口單子·準戶口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古文書硏究42, 한국고문서학회, 2013
유재춘, 강원도내 戶口 古文書의 현황과 특이사례에 대한 검토, 古文書硏究39, 한국고문서학회, 2011
손병규, 호적, 휴머니스트, 2006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집필자 : 정지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