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1849년(헌종 15) 幼學 李長漢이 三陟府에 제출한 호구단자이다.
이 가문에 소장중인 문서는 모두 21통인데, 이중 호적관련 문서는 19통이다. 문서에 따르면 이장한은 나이가 37세이고 1813년(계유)생으로 본관은 전주이다.
일반적으로 호구단자는 국가에서 호구대장을 3년마다 改修하기 위하여 각호에서 호구상황을 적어 3년에 한 차례 제출하는 것을 말한다. 주요 기재사항은 각호의 주소, 호주의 직업・성명・생년・본관・사조, 그 처의 성명・생년・본관・사조, 솔거자녀의 성명・생년, 노비와 雇工의 성명・생년 등이다.
사조의 기재사항을 보면 부친은 嘉善大夫 李成大이고 조부는 折衝將軍 行龍驤衛副護軍 李伯伊이다. 증조부는 通政大夫 李貴才이고 외조부는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 朴東安으로 본관은 밀양이다.
이 문서는 列書 형식이며 이장한의 사조・모친・처・처의 사조에 대한 내용이 기재되어 있고, 소유한 노비는 없다. 모친 박씨는 1849년에 사망한 것으로 기재되었다. 처 裵氏는 나이가 36세이고 1814년(갑술)생으로 본관 흥해이다. 처의 부친은 學生 裵正輝이고 조부는 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 裵碩老이다. 증조부는 통정대부 裵莫男이고 외조부는 학생 李道元으로 본관은 전주이다.
연관문서를 살펴보면 삼척 전주이씨가 호구문서에는 남성과 여성 모두 지칭에서 변화가 보인다. 남성 지칭어의 경우 이장한의 증조부 이귀재는 직역이 유학-통정대부, 조부 이백이는 양인-절충장군 행용양위부호군, 조모 韓姓은 召史-良女-姓, 부친 이성대는 保人-業儒-가선대부, 모친 朴姓은 良女-姓-氏로 변화가 있다. 이장한의 경우도 이른 시기의 호구문서에 기재될 때는 직역이 기록되지 않다가 시간이 흐르면서 業武로 기재하다가 유학으로 변화양상을 보이고 있다.
본 문서는 붉은색으로 통 호 수 등 빠진 기재사항을 쓰고 각각의 기재사항위에 붉은 점을 찍고 문서의 하단에 붉은색으로 남녀의 수를 구분하여 쓰고 准이라고 써서 호구대장과 확인을 마쳤음을 표시하였다. 문서 좌측 에는 강릉대도호부사의 署押이 보이고 문서 하단에는 周挾改印을 찍고 있다.
이장한의 거주지인 道上面은 현재 삼척시가 아닌 동해시에 속해 있다. 1914년 도상면, 도하면, 견박곡면이 북삼면으로 통합되었는데 1945년에는 북삼면이 북평읍으로 승격되었다. 1980년에 삼척군 북평읍과 명주군 묵호읍이 통합되어 동해시가 신설되었기 때문이다.
참고문헌
권내현,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역사비평사, 2015
권내현, 조선후기 호적에 대한 이해-논쟁과 과제, 韓國史硏究165, 한국사연구회, 2014
문현주, 조선후기 漢城府에서의 戶口單子·準戶口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古文書硏究42, 한국고문서학회, 2013
권기중, 18세기 단성현 법물야면의 인구구성과 保人層의 변화양상, 역사와담론64, 호서사학회, 2012
송양섭, 조선후기 신분.직역 연구와 지역체제의 인식, 朝鮮時代史學報34, 조선시대사학회, 2005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집필자 : 황은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