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1786년(정조 10) 정월에 春川府에서 保人 元奉言에게 발급해준 준호구이다.
문서에 따르면 원봉언은 춘천부 南山外一作面 君子谷里 제16통 1호에서 처와 함께 살고 있다. 문서에 기재된 원봉언의 나이는 37세이며 경자(1780)생으로 본관은 원주이다. 그러나 원봉언의 생년과 문서를 발급받은 연도가 맞지 않아 오자로 보이며, 원봉언의 올바른 생년은 경오년(1750)으로 추정된다. 그의 부친은 良人 元莫澂이고 조부는 老職 嘉義大夫 元得吉이며 증조부는 通政大夫 元俊發이다. 외조부는 양인 趙先宗으로 본관은 양주이다.
처의 당시 나이는 35세로 임신(1752)생이며 본관은 전주이다. 문서에는 처의 성이 누락되어 있지만, 1810년의 연관문서를 통해 처의 성이 李氏임을 알 수 있다. 처의 부친은 양인 李尙伊이고 조부는 양인 李加八里이며 증조부는 양인 李繼宗이다. 외조부는 양인 陳有式으로 본관은 예안이다.
이 문서에는 기재되지 않았으나 연관문서를 통해 을미(1775)생인 아들 元興學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 문서는 주호의 인적사항과 가족구성원 및 사조사항에 대해 호구단자의 작성방식인 列書로 기록하였지만 문서에 官印, 周挾改印, 府使의 署押 등을 확인할 수 있어 준호구임을 알 수 있다.
남산외일작면 군자곡리는 현재의 춘천 東山面 君子里이다. 군자곡리는 원래 남산외일작면에 소속되어 있었지만, 1914년 행정구역의 통폐합으로 東山外一作面에 병합되었고, 동산외일작면은 1917년 동산면으로 개칭되었다.
참고문헌
장경준, 조선후기 호적대장과 戶의 성격,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문현주, 조선후기 戶口文書의 작성 과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3
문현주, 조선후기 漢城府에서의 戶口單子·準戶口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古文書硏究42, 한국고문서학회, 2013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집필자 : 조영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