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1884년(고종 21)에 三嘉縣 栢山面 栢亦村에 거주하는 幼學 金有玉이 작성한 호구단자이다.
문서에 따르면 유학 김유옥의 당시 나이는 63세로 임오(1522)생이고, 본관은 김해이다. 김유옥의 사조사항을 살펴보면 부친은 學生 金百鎰이고, 생부는 학생 金萬鎰이며, 조부는 학생 金聲律이다. 증조부는 학생 金益宗이고, 외조부는 학생 許耆으로 본관은 하양이다.
부인 吳氏의 나이는 63세로 생년은 임오(1522)생이고, 본관은 함양이다. 오씨의 부친은 학생 吳仁大이고 조부는 학생 吳守範이다. 증조부는 학생 吳善姬이며, 외조부는 학생 姜禹龍으로 본관은 진주이다.
김유옥과 오씨 슬하에 아들 1명이 있는데 이름은 金基浹이고 나이는 35세이며 경술(1850)생이다. 며느리의 이름은 孫氏로 나이는 38세이고, 김기협보다 3살 연상이다. 손씨의 본관은 밀양이다. 이 문서에서 김기협은 처음 등장하게 되는데 김기협의 나이와 출생년도, 부인과 가족 구성사항이 이전 문서에서의 金性中과 같기 때문에 김기협은 김성중이 개명한 것이다.
소유하고 있는 노비는 남자종 1口가 있다.
이 호구단자에서는 이전문서와 달리 官印과 行縣監의 署押, 그리고 周挾無改印을 모두 찍지 않았고 문서의 말미에 임오년(1882)에 작성한 호구단자와 비교하였음을 기재하였다.
문서의 상태는 양호하나 김유옥의 아들인 김기협의 이름 부분에 파란색으로 칠해져 있다.
김유옥이 거주하는 삼가현 백산면 덕역촌은 현재 행정구역상으로 경상남도 합천군 쌍백면 백역리이다.
참고문헌
권내현, 노비에서 양반으로, 그 머나먼 여정, 역사비평사, 2015
문현주, 조선후기 漢城府에서의 戶口單子·準戶口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古文書硏究42, 한국고문서학회, 2013
손병규, 호적, 휴머니스트, 2006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집필자 : 신태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