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99년 관찰사서리(觀察使署理) 춘천군수(春川郡守) 보고서(報告書)

ㆍ자료UCI: KNU+GWKSMC+KSM-XC.1899.4213-20190501.2018000446
URL
복사
복사하기
· 분류 고문서-첩관통보류-보고서 | 정치/행정-보고-보고서
· 작성주체 발급 : 신병휴(申炳休)
수취 : 권직상(權直相)
· 작성지역 원주군
· 작성시기 光武三年(1899)
· 형태사항 28.0 X 34.5 | 1장 | 종이 | 한자 | 낱장
· 인장서명 1 (적색, 정방형, 2.7*2.7, 原州郡守之章)
1 (적색, 정방형, 5.2*5.2, 江原道印)
· 원소장처 춘천 김현식
· 현소장처 춘천 김현식

연결자료

안내정보

이 문서는 1899년원주군수(原州郡守) 신병휴(申炳休)가 작성하여 올린 보고서이다.
보고서의 작성시기는 광무 3년 11월 4일이고, 수취자는 관찰사서리(觀察使署理) 춘천군수(春川郡守)이다. 문서에는 수취자의 이름이 기재되어 있지 않지만 승정원일기를 통해 그 당시 관찰사서리 춘천군수권직상(權直相)임을 알 수 있다.
신병휴권직상에게 보고를 올린 내용은 이번 음력 10월 초1일에 지내는 여제(厲祭)에 참여하는 헌관(獻官), 여러 집사(執事) 및 제물(祭物) 대한 사항이다.

상세정보

이 문서는 1899년 11월 4일에 原州郡守 申炳休觀察使署理 春川郡守에게 올린 보고서이다.
보고서는 하급기관에서 상급기관으로, 혹은 하급자가 상급자에게 특정 업무 현황을 알리기 위해 작성한 문서를 말한다. 문서의 첫 행에는 문서번호인 '報告第一百五號'를 기재하였다. 본문에는 이번 음력 10월 초1일에 지내는 厲祭를 禮文에 맞게 정밀하게 갖춰 실행할 것과 獻官, 여러 執事 및 祭物에 대한 사항을 보고서에 덧붙여 올린다고 기재하였다.
본문의 말미에는 보고서의 발급자인 원주군수의 이름은 기록한 반면 수취자인 관찰사서리 춘천군수의 이름은 적지 않았다. 승정원일기에 따르면 1898년 12월에서 1899년 7월까지 趙鍾弼강원도 관찰사로 복무하였고, 후임으로 1899년 12월에 鄭日永이 제수된 사실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당시 춘천군수權直相이었는데, 조종필의 이임 이후 관찰사가 임명되지 않았던 5개월 동안 권직상관찰사서리였음을 알 수 있다.
보고서에 첨부된 내용을 살펴보면 첫 번째 항목에는 여제에 참여하는 사람의 직책과 이름을 적었고, 두 번째에서는 여제에 사용되는 물목을 기재하였다. 세 번째 항목에는 無祀鬼神 15位에 지내는 제사에 사용하는 품목을 기록하였다.
여제의 초헌관은 원주군수 신병휴이고, 아헌관은 幼學 孫時學이며, 종헌관은 유학 李德有이다. 大祝은 鄕長 姜泰欽, 典祝은 유학 李元明이고, 執禮와 執事는 校生 韓宅洙鄭東守가 맡았다.
문서의 마지막에는 관찰사서리 춘천군수가 11월 10일에 보고서를 받았다는 내용의 題音이 적혀있다.
참고문헌
박준호, 고문서의 서명과 인장, 박이정, 2016
문보미, 조선시대 관문서 關의 기원과 수용, 古文書硏究 제37집, 고문서학회, 2010
송철호, 조선시대 差帖에 관한 연구 –17세기 이후의 口傳에 관한 差帖을 중심으로-, 古文書硏究 제35집, 고문서학회, 2009
朴盛鍾, 15세기 牒呈의 분석, 古文書硏究 제22집, 고문서학회, 2003
집필자 : 조상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