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1705년(숙종 31)에 進士 申錫華가 작성한 호적단자이다. 문서 말미에 '康熙四十四年'이라고 기재되어 있어 이 호구단자의 작성시기를 알 수 있다.
문서에 따르면 신석화의 당시 나이는 34세로 임자(1672)생이며 본관은 평산이다. 평산신씨대동보에 의하면 신석화는 평산신씨 正言公派 23대손으로, '甲午卒'이라고 기재되어 있어 신석화의 몰년은 갑오년(1714)임을 알 수 있다. 거주지는 北部 嘉會坊契 第29統 第3戶로 이 지역은 현재 행정구역상 서울특별시 종로구 일대에 해당한다.
주호의 사조사항을 보면 부친은 贈大匡輔國崇祿大夫 議政府領議政 兼領經筵弘文館藝文館春秋館觀象監事 崇祿大夫 行禮曹判書 兼判義禁府事 知經筵春秋館事 同知成均館事 弘文館提學 藝文館提學 五衛都摠府都摠管 申晸이다. 조부는 증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嘉義大▣(夫)▣▣曹參判 兼同知義禁府春秋館事 오위도총부부총관 申翊全이며 증조부는 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世子師 贈謚文貞公 申欽이다. 외조부는 通訓大夫 行京畿左道水運判官 申許暹으로 본관은 양주이다.
신석화의 가족으로는 처 驪興閔氏, 딸, 첫째 아들 申墨男, 둘째 아들 申彭男이 있는데, 딸의 이름은 문서에 기재되지 않았다. 처 여흥민씨는 35세로 신해(1671)생이다. 처의 사조를 살펴보면 부친은 보국숭록대부 領敦寧府事 驪陽府院君 증시문정공 閔維重이고, 조부는 증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行▣▣大夫 守江原道觀察使 兼兵馬水軍節度使 巡察使 閔光勳이다. 증조부는 증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세자사 行通政大夫 守慶州府尹 慶州鎭兵馬節制使 閔機이며, 외조부는 증대광보국숭록대부 의정부영의정 겸영경연홍문관예문관춘추관관상감사 行正憲大夫 議政府左參贊 兼成均館祭酒 世子贊善 贈謚文正公 宋俊吉로 본관은 은진이다. 딸은 14세로 임신(1692)생이고, 첫째 아들 신묵남은 9세로 정축(1697)생이며, 둘째 아들 신팽남은 6세로 경진(1700)생이다.
노비는 '率奴婢秩'과 '逃亡秩'로 구분하여 대체로 노비의 부모까지 기재했다.
이 문서를 살펴보면 서두에 발급지역을 명시하고 행을 옮겨 본문의 항목들을 列書하였다. 통・호수는 朱墨으로 추기하였고 호에 거주하고 있는 가족구성원의 항목 위에 朱點을 찍어 표시하였는데, 남성과 여성을 구분하여 주점의 모양을 달리하였다. 또한 본문에는 글자를 고친 흔적이 보이며 문서 중앙에 '準'자와 '准'자를 주묵으로 追記하였다. 문서 말미에는 발급연도를 중국연호로 기재하였다.
문서의 보존 상태를 보면 상단부에 동일한 형태의 오염이 12개가 확인되며 중앙에는 일부분 탈락이 보인다. 배면에는 幷二十九라고 적혀 있다.
참고문헌
장경준, 조선후기 호적대장과 戶의 성격,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문현주, 조선후기 戶口文書의 작성 과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3
문현주, 조선후기 漢城府에서의 戶口單子·準戶口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古文書硏究42, 한국고문서학회, 2013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집필자 : 조영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