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오년 11월에 咸仁九 등이 城主에게 올린 상서이다.
상서는 소지의 일종으로 백성들이 관찰사, 고을 수령, 암행어사 등에게 올리는 청원서를 말한다. 상서에 쓸 수 있는 내용은 청원・소장・진정 등 매우 다양하지만 산송, 효행의 정려가 주류를 이룬다. 연명하여 올릴 경우 등장의 형태를 띤 것이 많다. 이 상서 역시 등장의 형태를 띠고 있다.
조선후기 서식용례집인 유서필지에서 소지의 종류를 상서를 포함해 擊錚, 單子, 白活, 議送 등으로 구분하고 있다. 소지의 양식은 대개 시면, 본문, 결사, 판관의 존함, 작성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법제적으로 양식은 정해져 있지 않다.
이 문서를 살펴보면 함인구는 자신을 가리켜 '化民'이라고 칭하고 있다. 화민은 백성이 관에 탄원서를 올릴 때 자기 자신을 낮추는 방식 중 하나로 양반이 사용하였다. 화민에서 화는 '교화하다'의 뜻을 가지고 있는데, 화민을 칭하며 '성주님의 가르침을 받고 있는 백성'이라는 것이며, 곧 성주의 관할 지역 내에 사는 백성임을 나타내는 호칭이었다.
함인구 등은 七峯公의 무덤 아래에 화전을 실지 답사하여 농지세를 매기는 일[執卜]로 정소를 한 적이 있었다. 당시 뎨김[題音]에서 다시 조사하겠다는 처분을 받았다. 그러나 관에서 조사를 하러 나오지 않자 다시 상서를 올려 집복을 요청하였다.
성주는 초 2일에 뎨김을 작성해주었다. 처분에서 칠봉공의 산소는 다른 곳보다 특별하니 특별히 減給해 주겠다고 하였다. 좌상단에는 성주의 착관과 서압이 있고, 뎨김 위에 관인 3관을 찍었다.
참고문헌
최승희, 한국고문서 연구, 지식산업사, 2015
원창애, 소지류・관부문서・망기・통문류・제문・만사의 분석, 경남문화연구 제25집, 경남문화연구원, 2004
김경숙, 조선후기 山訟 所志類의 文書樣式과 分類, 규장각 제25집, 규장각 한국학연구원, 2002
全炅穆, 朝鮮後期 所志類에 나타나는 '化民'에 대하여, 古文書硏究 제6집, 고문서학회, 1994
집필자 : 김선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