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1856년(철종 7)에 吏曹에서 왕명을 받들어 進士 洪肯謨를 通德郞 行惠陵參奉者로 임명하는 敎牒이다.
조선시대 임명장은 왕명에 의해 발급하는 4품 이상 고신과 이조나 兵曹에서 국왕의 재가를 받아 임명한 5품 이하 교첩으로 나뉜다. 홍긍모가 임명받은 통덕랑은 정5품, 참봉은 종9품 上階이므로 본 문서는 교첩에 해당한다. 문서의 형식은 경국대전 '文武官五品以下告身式'에 규정되어 있는데, 본 문서도 경국대전에 기록된 양식에 따라 작성하였다.
문서를 보면 서두에는 왕명을 받든 날짜를 밝혔는데, 咸豊六年 六月 二十五日임을 알 수 있다. 본문은 진사 홍긍모를 통덕랑 행혜릉참봉에 임명하는 내용이다. 문서의 발급일은 咸豐六年 六月이고, 일자는 기재하지 않았다.
문서의 발급에는 判書 李가 참여하였다. 이조판서의 이름은 기재되어 있지 않았지만, 승정원일기 철종 7년 6월 19일자 기사를 통해서 이 당시 이조판서의 이름은 李鶴秀임을 알 수 있다. 문서의 뒷면에는 문서의 작성자인 이조서리 安奎明의 이름이 적혀 있다.
홍긍모는 1819년(순조 19)생으로 자는 敬搆이다. 1844년(헌종 10) 증광시에서 진사 3등으로 입격하여 1856년 통덕랑 행혜릉참봉을 시작으로 조봉대부 행영고별제, 통훈대부 행선산도호부사, 선략장군 행용양위부사과 등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부인은 靑松沈氏이며, 아들 洪達周를 두었다.
참고문헌
柳池榮, 朝鮮時代 任命文書 硏究, 韓國學中央硏究院 博士學位論文, 2014
전경목, 고문서, 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휴머니스트, 2014
鄭求福, 朝鮮朝의 告身(辭令狀) 檢討, 古文書硏究9·10, 한국고문서학회, 1996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집필자 : 김선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