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44년 홍긍모(洪肯謨) 백패(白牌)

ㆍ자료UCI: KNU+GWKSMC+KSM-XA.1844.1111-20210501.2020000386
URL
복사
복사하기
· 분류 고문서-교령류-백패 | 정치/행정-과거-백패
· 작성주체 발급 : 헌종 이환(李奐)
수취 : 홍긍모(洪肯謨)
· 작성지역 한성
· 작성시기 道光二十四年(1844)
· 형태사항 86.7 X 46.2 | 1장 | 종이 | 한자 | 낱장
· 인장서명 1 (적색, 정방형, 9.9*9.9, 科擧之寶)
· 원소장처 원주 풍산홍씨
· 현소장처 원주역사박물관

연결자료

안내정보

이 문서는 1844년(헌종 10) 4월 2일에 유학(幼學) 홍긍모(洪肯謨)가 받은 백패(白牌)이다.
홍긍모진사 3등 49인으로 입격하였다. 생원진사시는 1등 5명, 2등 25명, 3등 70명을 선발하므로 홍긍모는 전체 79등으로 합격하였음을 알 수 있다. 뒷면에는 황색 종이를 덧붙인 후 입격자의 신분과 이름, 성적을 밝혔다.

상세정보

이 문서는 1844년(헌종 10) 4월 2일에 幼學 洪肯謨進士試에 입격하여 받은 백패이다.
백패는 생원시 또는 진사시에 입격한 사람들에게 내리는 합격증서로 문서식은 대전회통 禮典 白牌式에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문서 첫 머리에 '敎旨'라고 기재하여 왕명문서임을 밝힌다. 그 다음 행을 옮겨 '具官+某+進士+幾等+第幾人+入格者'라고 본문을 기재한다. 마지막으로 행을 옮겨 연호와 날짜를 적고 그 위에 科擧之寶를 찍는다. 백패에 사용된 인장은 조선 건국 이후 國王信寶를 사용하다가 1443년(세종 25)부터 사용한 科擧之印을 거쳐 1624년(인조 2) 이후부터 과거지보로 정해졌다.
내용을 보면 문서 첫머리에 '敎旨'라고 기재하였고 행을 바꾸어 본문을 기재했다. 본문에는 유학 홍긍모진사 3등 49인으로 입격하여 증서를 내린다고 기재되어 있다. 문서 뒷면에는 황색 종이를 덧붙여 '幼學 洪肯謨 進士三等 第四十九人'라고 기재하여 입격자의 신분과 이름, 성적을 밝혔다.
생원진사시는 총 100인을 뽑았는데, 이 중 1등 5명, 2등 25명, 3등이 70명이므로 홍긍모는 전체 79위로 합격하였음을 알 수 있다.
崇禎紀元後四甲辰增廣司馬榜目에는 홍긍모에 대한 정보가 수록되어 있는데, 자는 敬搆이고, 생년은 기묘년(1819)이다. 본관은 豐山이며 거주지는 原州이다. 1844년(헌종 10)진사 3등 49인으로 입격한 이후 1856년 通德郞 行惠陵參奉을 시작으로 通訓大夫 行善山都護府使, 宣略將軍 行龍驤衛副司果 등 여러 관직을 두루 역임하였다.
참고문헌
문현주, 조선후기 漢城府에서의 戶口單子·準戶口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古文書硏究42, 한국고문서학회, 2013
이정수, 김희호, 조선후기 挾戶의 존재 형태와 노동 특성, 역사와경계83, 부산경남사학회, 2012
유재춘, 강원도내 戶口 古文書의 현황과 특이사례에 대한 검토, 古文書硏究39, 한국고문서학회, 2011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집필자 : 김선우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