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07년 정몽삼(鄭夢三) 준호구(準戶口)

ㆍ자료UCI: KNU+GWKSMC+KSM-XD.1807.4773-20180501.2017000296
URL
복사
복사하기
· 분류 고문서-증빙류-호적 | 사회-인구/호적-호구단자/준호구
· 작성주체 발급 : 의성관(義城官)
수취 : 정몽삼(鄭夢三)
· 작성지역 의성현
· 작성시기 光緖十三年(1807)
· 형태사항 38.0 X 39.5 | 1장 | 종이 | 한자 | 낱장
· 인장서명 1 (적색, 정방형, 6.9*6.9, 義城官印)
1 (흑색, 장방형, 18.0*3.8, 周挾無改印)
· 원소장처 담양 선산유씨
· 현소장처 원주역사박물관

연결자료

안내정보

1807년(순조 7) 의성관(義城官)에서 유학(幼學) 정몽삼(鄭夢三)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문서에 따르면 정몽삼은 73세로 갑인(1734)생이고, 본관은 연일이다. 가족으로는 본관이 안동인 처 권성(權姓)이 있다. 주호의 거주지는 의성현(義城縣) 하천면(下川面) 제원지리(第院旨里)로 지금의 의성군 봉양면 화전동 일대로 짐작된다.
노비는 여자종 1구(口)가 있다.

상세정보

1807년(순조 7) 義城官에서 幼學 鄭夢三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
문서에 따르면 이 문서는 정묘년(1807)에 성적한 호적대장을 토대로 작성되었다. 주호 정몽삼갑인(1734)생으로 73세이고, 본관은 연일이다. 주호 정몽삼갑인생은 74세로 기재되어야 하는데 본 문서에서는 73세로 기재되어 있다. 6년 후 작성된 1813년에 준호구에는 생년이 을묘년(1735)로 기재되어 있으므로 오기로 생각된다. 주호의 거주지는 義城縣 下川面 第院旨里로 통・호수는 기재하지 않았다. 의성현 하천면 제원지리는 지금의 의성군 봉양면 화전동 일대로 짐작된다.
주호의 사조사항을 살펴보면 부친은 學生 鄭連望이고, 조부는 直長 鄭鳴商이며, 증조부는 老職 僉知中樞府事 鄭明言이다. 외조부는 老職 通政大夫 嚴相東으로 본관은 영월이다.
가족으로는 처 權姓이 있다. 처 권성은 73세로 갑인(1734)생이고, 본관은 안동이다. 처의 부친은 학생 權龍鳳이고, 조부는 학생 權玉曄이며, 증조부는 折衝將軍 權聖日이다. 외조부는 학생 具趾復으로 본관은 경주이다. 외조부의 직역이 '學'자만 기재되어 있다. 처의 나이가 73세로 기재된 점을 볼 때 외조부의 직역은 학생으로 짐작된다. 처 권성의 생년도 주호와 동갑이므로 주호의 경우와 같이 오기로 생각된다.
소유한 노비는 여자종 1口가 있다. 여자종 命丹은 40세로 갑자(1744)생으로 기재되어 있으나 명단 역시 무자(1768)생을 잘못 기재한 것으로 보인다.
문서를 살펴보면 가족구성원 기재사항에는 朱點을 찍어 표시하였다. 문서의 좌측에 行縣令의 서압이 확인되고, 하단에는 周挾無改印이 확인된다. 주협무개인을 찍었으나 주호의 조부의 이름과 처의 조부의 이름을 고친 흔적이 확인된다. 문서의 우측에는 官印을 찍었다.
참고문헌
장경준, 조선후기 호적대장과 戶의 성격, 부산대학교 박사학위논문, 2015
문현주, 조선후기 戶口文書의 작성 과정 연구, 한국학중앙연구원 박사학위논문, 2013
문현주, 조선후기 漢城府에서의 戶口單子·準戶口 작성 과정에 관한 再考, 古文書硏究42, 한국고문서학회, 2013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집필자 : 신태훈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