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38년 홍래보(洪來輔) 백패(白牌)

ㆍ자료UCI: KNU+GWKSMC+KSM-XA.1738.1111-20210501.2020000376
URL
복사
복사하기
· 분류 고문서-교령류-백패 | 정치/행정-과거-백패
· 작성주체 발급 : 영조 이금(李昑)
수취 : 홍래보(洪來輔)
· 작성지역 한성
· 작성시기 乾隆三年(1738)
· 형태사항 181.4 X 76.5 | 1장 | 종이 | 한자 | 낱장
· 인장서명 1 (적색, 정방형, 9.9*9.9, 科擧之寶)
· 원소장처 원주역사박물관
· 현소장처 원주역사박물관

연결자료

안내정보

이 문서는 1738년(영조 14) 2월에 유학(幼學) 홍래보(洪來輔)생원시(生員試)에 입격하여 받은 백패이다.
건륭(乾隆) 3년 2월 27일에 생원 3등 61인으로 입격하였으며, 뒷면에는 황색 종이 위에 '유학홍래보생원삼등제육십일인(幼學洪來輔生員三等第六十一人)'이라 기재하였다.

상세정보

이 문서는 1738년(영조 14) 2월에 幼學 洪來輔生員試에 입격하여 받은 백패이다.
백패는 생원시 또는 進士試에 입격한 사람들에게 내리는 합격증서로 그 문서식은 대전회통 禮典 白牌式에서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문서 첫 머리에 '敎旨'라고 기재하여 왕명문서임을 밝힌다. 그 다음 행을 옮겨 '具官+某+生員+幾等+第幾人+入格者'라고 본문을 기재한다. 마지막으로 행을 옮겨 연호와 날짜를 적고 그 위에 科擧之寶를 찍는다. 백패에 사용된 인장은 조선 건국 이후 國王信寶를 사용하다가 1443년(세종 25)부터 사용한 科擧之印을 거쳐 1624년(인조 2) 이후부터 과거지보로 정해졌다.
이 문서를 살펴보면 문서 시작에 '敎旨'를 擡頭하여 기재하고 행을 옮겨 본문을 기재했다. 본문의 내용은 '幼學 洪來輔 生員 三等第 六十一人入格者'로 홍래보생원 3등 61인으로 입격하여 증서를 내린다는 것이다. 그리고 다시 문서를 발급하는 해인 '乾隆三年 二月 二十七日'을 기재하고 그 위에 과거지보를 찍었다. 문서 뒷면에는 황색 종이를 덧붙이고 '幼學 洪來輔 生員 三等第 六十一人'이라고 기재하여 입격자의 신분과 이름 및 성적을 밝혔다.
崇禎戊午式年司馬榜目에 따르면 홍래보가 응시한 생원시는 무오 식년시이며, 1등 5명, 2등 25명. 3등 70명, 총 100명을 선발하였다. 홍래보는 3등 61인으로 입격했으므로 전체 91등임을 알 수 있다. 식년시는 정기적으로 시행하는 과거시험이다. 홍래보의 자는 儀仲, 1706년생이며 본관은 풍산, 거주지는 원주이고 입격 당시 나이는 33세 이다.
참고문헌
鄭求福, 朝鮮朝의 告身(辭令狀) 檢討, 古文書硏究9·10, 한국고문서학회, 1996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전경목, 고문서, 조선의 역사를 말하다, 휴머니스트, 2014
柳池榮, 朝鮮時代 任命文書 硏究, 韓國學中央硏究院 博士學位論文, 2014
집필자 : 정순교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