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래보(洪來輔) 국천유고(菊泉遺稿)

ㆍ자료UCI: KNU+GWKSMC+KSM-WZ.0000.4213-20210501.2020000391
URL
복사
복사하기
· 분류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작성주체 홍래보(洪來輔, 1706-1780) 발급
· 판종 필사본
· 발행사항 강원도 원주 : [발행처불명], [18세기 후반 이후]
· 형태사항 필사본 , 성책
3책 ; 30.0 X 18.3 cm , 한자
· 원소장처 원주 풍산홍씨
· 현소장처 원주역사박물관

연결자료

안내정보

18세기의 학자, 생원(生員) 홍래보(洪來輔, 1706~1786)의 시문집이다.
사마방목에 따르면 홍래보1706년에 태어나서 1738년생원시에 합격했으며, 거주지는 원주였다. 풍산홍씨 가문에 세전하는 국천유고(菊川遺稿)는 필사본으로 19세기 전반경 편집되었으며, 3권, 별편을 합하여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18세기 원주지역의 유학자 홍래보를 중심으로 하는 교유관계를 알 수 있는 문집이며, 특히 그가 지역 유림에게 중망(重望)을 받으며 관여하여서인지 다른 자료에서 볼 수 없는 '칠봉서원게판입약(七峯書院揭板立約)'이 문집에 실려 있다. 국천유고에 이 입약문이 실려있는 것으로 보아 이 게판입약을 국천선생이 주도하여 작성하고 게판한 후 시행한 것으로 여겨진다.

상세정보

18세기의 학자, 생원 洪來輔(1706~1786)의 시문집이다. 사마방목에 따르면 홍래보1706년에 태어나서 1738년생원시에 합격했으며, 거주지는 원주였다. 홍래보의 증조부는 예산현감을 지낸 洪柱文이다.
풍천홍씨 가문에서 세전되어온 국천유고는 필사본으로, 19세기 전반경 편집되었으며, 3권과 별편을 합하여 1책으로 구성되어 있다. 부록 중에 記夢편과 居家遺訓편 말미에 '不肖子 醇浩'가 붙은 설명문이 있는 것으로 보아 본 문집의 필사자가 홍래보의 아들 洪醇浩라는 것을 알 수 있다. 본서의 정확한 필사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대체로 19세기 이후로 추정된다. 수록 내용 권1에 오언절구 35수, 육언절구 2수, 칠언절구 30수, 권2에 칠언절구 29수, 오언율시 5수, 칠언율시 10수, 권3에 跋 1편, 銘 1편, 祭文 1편, 雜著 1편(七峯書院揭板立約), 附錄 2편(기몽, 거가유훈), 別編 제문, 鄭元重이 지은 陶川書院致祭文과 진사 蔡顯重이 지은 七峯書院致祭文이 수록되어 있다. 이중 부록의 기몽, 거가유훈은 홍순호가 지은 것이고, 별편은 여러 사람이 지은 제문을 수록한 것인데, 여기에 원주의 두 서원인 도천서원과 칠봉서원 致祭文이 있는 것은 菊泉 홍래보원주 儒林의 신망을 받는 학자였기 때문이다. 도천서원 치제문에서는 국천을 '鄕黨重望 儒林領袖'라고 표현하고 있다.
전체적인 분량은 많지 않으나 18세기 원주지역의 유학자 홍래보를 중심으로 하는 교유관계를 알 수 있는 문집이며, 특히 그가 지역 유림에서 중망을 받으며 관여하여서인지 다른 자료에서 볼 수 없는 '七峯書院揭板立約'이 문집에 실려 있다. 칠봉서원게판입약은 칠봉서원 운영과 관련된 중요 사항을 입약 형태로 현판에 작성하여 걸어둔 것으로 서원 운영에 대한 구체적 규약을 담고 있는 중요한 자료이다. 국천유고에 이 입약문이 실려있는 것으로 보아 이 揭板立約을 국천선생이 주도하여 작성하고 게판한 후 시행한 것으로 여겨진다.
홍래보의 자는 儀卿, 호는 菊泉이다. 1738년[戊午式年試]에 생원시에 입격하였다. 앞서 언급한 도천서원치제문에서 그를 '鄕黨의 重望을 입은 儒林의 領袖'라고 표현하고 있는 점에서도 알 수 있듯이 향촌 사회의 유력한 유림이었음을 알 수 있다.
참고문헌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洪祐夔, 豐山洪氏族譜, 豊山洪氏大同譜所, 1933
집필자 : 조상준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