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25년 윤명거(尹命擧) 고신(告身)

ㆍ자료UCI: KNU+GWKSMC+KSM-XA.1725.1111-20160501.2015000183
URL
복사
복사하기
· 분류 고문서-교령류-고신 | 정치/행정-임면-고신
· 작성주체 발급 : 영조 이금(李昑)
수취 : 윤명거(尹命擧)
· 작성지역 한성부
· 작성시기 雍正三年(1725)
· 형태사항 54.7 X 72.8 | 1장 | 종이 | 한자 | 낱장
· 인장서명 1 (적색, 정방형, 10.0*10.0, 施命之寶)
· 원소장처 강릉 파평윤씨
· 현소장처 오죽헌시립박물관

연결자료

안내정보

1725년(영조 1) 7월에 국왕이 윤명거(尹命擧)절충장군(折衝將軍) 행충무위부사용(行忠武衛副司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절충장군정3품 당상관의 품계이고, 충무위부사용은 충무위의 종9품의 무관직이다. 품계에 비해 관직이 낮기 때문에 관직명 앞에 '행(行)'자가 붙었다.

상세정보

1725년(영조 1) 7월에 국왕이 尹命擧折衝將軍 行忠武衛副司勇으로 임명한 문서이다.
절충장군정3품 당상관의 품계이다. 충무위는 조선시대 중앙군인 5위의 하나이며, 부사용은 5위에 속해 있던 종9품의 무관직이다. 품계에 비해 관직이 낮기 때문에 관직명 앞에 '行'자가 붙었다.
이 문서는 4품 이상의 관원을 임명할 때 쓰이며 告身이라 부른다. 경국대전에 文武官四品以上告身式이 규정되어 있다. 문서에는 왕의 고유 임명권한을 밝히는 '敎旨'를 첫머리에 쓰고, 본문에 인명+爲+品階+관직+者의 순으로 임명 내용을 기입한다. 품계와 관직에 차이가 날 경우에는 관직명 앞에 '行'과 '守'자를 넣어 구분하는데, 본 문서에서는 품계와 관직의 동일하기 때문에 행수법이 적용되지 않는다. 마지막에는 행을 바꾸어 연호와 발급일을 쓰고 연호 위에 施命之寶를 찍어 임명당사자에게 발급한다. 본 문서도 이러한 서식에 따라 작성되었다.
윤명거의 본관은 파평으로 부친은 尹煒이고, 조부는 江陵鎭管兵馬同僉節制使를 지낸 尹貞世이다. 본 문서와 관련하여 아들 尹東夏通訓大夫 兼良才道察訪에 임명된 교지가 현전하는데, 윤동하1677년생이며, 29세의 나이로 을유식년시에서 병과 4위로 합격하였다.
참고문헌
유지영, 朝鮮時代 任命文書 硏究, 韓國學中央硏究院 博士學位論文, 2014
崔承熙, 韓國古文書硏究, 지식산업사, 2003
집필자 : 황은영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