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세량(尹世亮, 수취), 이공(李玜, 발급)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장 | 嘉慶十八年(1813)
이 문서는 1813년 학생(學生) 윤세량(尹世亮)을 통훈대부(通訓大夫) 사복시정(司僕寺正)으로 추증한다는 내용의 추층교지(追贈敎旨)이다.추증된 사유는 증손자 윤노동(尹魯東)이 가선대부(嘉善大夫) 행성균관대사성(行成均館大司成) 겸동지의
박동화(朴東化, 수취), 이공(李玜, 발급)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장 | 嘉慶十六年(1811)
이 문서는 1811년 박동화(朴東化)를 통정대부(通政大夫)에 임명한다는 내용의 납속첩(納粟帖)이다. 납속첩은 기근, 재해, 큰 난리 등 국가의 위기가 닥쳐 국가가 재정확충을 필요로 할 때, 곡물을 관청에 납부한 자들에게 정3품 이상의
박지의(朴志儀, 수취), 이공(李玜, 발급)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장 | 道光八年(1828)
이 문서는 1828년 박지의(朴志儀)를 가선대부(嘉善大夫)에 임명한다는 내용의 납속첩(納粟帖)이다. 납속첩은 일반적인 고신과 형식이 같으나 그 성격은 다른 문서이다. 납속은 기근, 재해, 외적의 침입 등 국가가 큰 위기에 처했을 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