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3년 신응조(申應朝) 유지(有旨) | 춘천 평산신씨
신응조(申應朝, 수취), 이희(李熙, 발급)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장
| 同治十二年(1873)
이 문서는 1873년(고종 10)에 강원도관찰사(江原道觀察使) 신응조(申應朝)에게 발급한 유지(有旨)이다.문서를 작성한 자는 좌승지(左承旨) 조병식(趙秉式)이고, 신응조에게 임기를 잉임(仍任)한지 얼마 되지 않았으니 직책을 잘 수행하
-
1846년 신응조(申應朝) 고신(告身) | 춘천 평산신씨
신응조(申應朝, 수취), 이환(李奐, 발급)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장
| 道光二十六年(1846)
1846년(헌종 12) 헌종이 신응조(申應朝)를 통훈대부(通訓大夫) 사직서령(行社稷署令)으로 임명한 고신(告身)이다.통훈대부는 정3품 문관의 품계이고, 사직서령은 조선시대 사직단의 관리를 위한 관청이던 사직서의 종5품 관직이다. 품계
-
1845년 신응조(申應朝) 고신(告身) | 춘천 평산신씨
신응조(申應朝, 수취), 이환(李奐, 발급)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장
| 道光二十五年(1845)
이 문서는 1845년(헌종 11) 12월 27일에 헌종이 신응조(申應朝)를 봉정대부(奉正大夫) 행상의원별제(行尙衣院別提)로 임명한 고신(告身)이다.봉정대부는 정4품 상계(上階)이고, 상의원별제는 임금의 의복과 궁중의 재화 등의 물품을
-
1858년 신응조(申應朝) 고신(告身) | 춘천 평산신씨
신응조(申應朝, 수취), 이변(李昪, 발급)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장
| 咸豊八年(1858)
1858년(철종 9) 5월 17일 철종이 신응조(申應朝)를 통훈대부(通訓大夫) 행병조정랑(行兵曹正郞)으로 임명한 고신(告身)이다.통훈대부는 정3품 문과의 품계이며, 병조정랑은 군사에 관한 일과 무관을 선발하고 궁궐문의 수비, 무기 및
-
1858년 신응조(申應朝) 고신(告身) | 춘천 평산신씨
신응조(申應朝, 수취), 이변(李昪, 발급)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장
| 咸豊八年(1858)
이 문서는 1858년(철종 9) 7월 철종이 신응조(申應朝)를 어모장군(禦侮將軍) 행용양위부사과(行龍驤衛副司果)로 임명한 고신(告身)이다.어모장군은 정3품 무관의 품계이고, 용양위부사과는 조선시대 군사조직인 오위(五衛)의 하나인 용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