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6년 홍긍모(洪肯謨) 준호구(准戶口) | 원주역사박물관
원주목(原州牧, 발급), 홍긍모(洪肯謨, 수취)
| 서울특별시 종로구
| 1장
| 光緖二年(1876)
이 문서는 1876년 정월에 원주목(原州牧)에서 통훈대부(通訓大夫) 전행선산부사(前行善山府使) 겸선산진병마제사(兼善山鎭兵馬節制使) 금오수성장(金烏守城將) 홍긍모(洪肯謨)에게 발급한 준호구이다.홍긍모는 기묘(1819)생으로 본관은 풍산
-
1876년 유무용(柳武用)의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무릉박물관
유무용(柳武用, 수취), 유준오(劉俊五, 발급)
| 충청남도 부여군
| 1장
| 光緖二年(1876)
이 문서는 1876년(고종 13년) 5월 21일 유준오(劉俊五)가 유무용(柳武用)에게 가옥과 토지를 방매하는 내용의 가사매매명문이다.해당 토지의 소유경위는 본인이 매득하여 경작하던 곳으로 빚을 갚기 위해서 방매한다고 사유를 기재하였다
-
1876년 김현만(金顯晩) 토지환퇴명문(土地還退明文) | 삼척시립박물관
김현만(金顯晩, 수취), 최성길(崔成吉, 발급)
| 1장
| 光緖貳年(1876)
이 문서는 1876년(고종 13) 11월 13일 최성길(崔成吉)이 김현만(金顯晩)에게 토지를 방매하면서 지급한 토지환퇴명문이다.환퇴는 토지를 잠시 팔았다가 판값을 되돌려주고 다시 사 오는 것을 말한다. 매매 사유는 긴요하게 쓸 데가
-
1876년 홍종관(洪鍾觀) 간찰(簡札) | 원주 한산이씨
홍종관(洪鍾觀, 발급), 이승긍(李承肯, 수취)
| 2장
| 丙子(1876)
이 문서는 1876년 홍종관(洪鍾觀)이 이승긍(李承肯, 1826~1881)에게 보낸 답장이다. 홍종관은 그동안 연락드리지 못한 이유를 설명하고, 여러 가지 물품을 보내주신 것에 대해 감사하다고 하였다.
-
1876년 민종묵(閔種黙) 간찰(簡札) | 원주 한산이씨
민종묵(閔種黙, 발급), 이승긍(李承肯, 수취)
| 1장
| 丙子(1876)
이 문서는 1876년 민종묵(閔種黙, 1835~1916)이 이승긍(李承肯, 1826~1881)에게 보낸 간찰이다. 민종묵은 자신의 안부를 전한 뒤, 아산(牙山)으로 이사한 오위장(五衛將) 이석환(李錫煥)을 잘 돌보아 달라고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