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82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오죽헌시립박물관
김관오(金觀五, 발급)
| 1장
| 光緖捌年(1882)
1882년(고종 19) 2월 3일 김관오(金觀五)가 아무개에게 토지를 팔면서 직접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토지의 소재지는 내북면(內北面) 죽전원(竹田員)에 위치한 13지번의 논이다. 면적은 13지번의 논의 10짐[負] 6뭇[束]과
-
1883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오죽헌시립박물관
김점백(金占伯, 발급)
| 1장
| 光緖玖年(1883)
1883년(고종 20) 12월 20일에 김점백(金占伯)이 아무개에게 토지를 팔면서 작성한 토지매매명문이다.명문에는 뱅매인과 매득인의 이름이 기재되는데, 이 문서에는 매득인이 적혀있지 않다. 김점백이 방매하는 토지는 전래되어 온 논이고
-
1884년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오죽헌시립박물관
이랑(以郞, 발급)
| 1장
| 光緖拾年(1884)
이 문서는 1884년 2월 20일에 김씨(金氏)의 남자종 이랑(以郎)이 아무개에게 토지를 팔면서 내어준 토지매매명문이다.거래사유는 이 집에 필요가 있어서[矣宅以要用所致]이고, 거래대상은 내북면(內北面)에 위치한 5곳의 논이다. 토지의
-
1881년 우인(右人)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무릉박물관
우인(右人, 수취), 서운선(徐雲仙, 발급)
| 1장
| 光緖七年(1881)
1881년(고종 18) 3월 23일, 서운선(徐雲仙)이 우인(右人)에게 토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 준 토지매매명문이다.토지를 파는 이유를 '요긴하게 쓰기 위해서[要用所致]'이다. 해당 토지는 남부(南部) 이책부 (二冊付) 아현평(牙峴坪
-
1877년 서운선(徐雲仙) 토지매매명문(土地賣買明文) | 무릉박물관
서운선(徐雲仙, 수취), 김성원(金聖元, 발급)
| 1장
| 光緖三年(1877)
1877년(고종 14) 8월 20일, 김성원(金聖元)이 서운선(徐雲仙)에게 토지를 방매하면서 작성해준 토지매매명문이다.답주 김성원이 토지를 파는 이유는 '요긴하게 쓰기 위해서[要用所致]'이다. 해당 토지는 남부(南部) 이책부(二冊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