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5년 홍학주(洪學周) 외 6인 통문(通文) | 무릉박물관
유회소(儒會所, 발급)
| 1장
| 乙亥(1875)
1875년 3월 12일에 유학(幼學) 홍학주(洪學周) 외 6인이 작성한 통문이다.흥선대원군을 운현궁으로 돌아가도록 하는 일로 각 면에 면유사(面有司)가 면내의 명첩(名帖)과 서울로 올라가는 여비를 거두어 보내도록 하였는데, 한 달이
-
1934년 박신구(朴伸球) 외 21인 통문(通文) | 무릉박물관
1장
| 甲戌(1934)
1934년 12월에 도유사 박신구(朴伸球) 외 21인이 종중으로 보낸 통문이다.이 가문에서는 1868년 서원철폐령으로 봉암사(鳳巖祠)에 안치한 동계(東溪)와 매헌(梅軒)이라는 두 선조의 혼백을 모시지 못하였는데, 근래에 다른 가문처럼
-
신미년 김인락(金仁洛) 외 23인 통문(通文) | 무릉박물관
대구 도회(大邱 都會, 발급)
| 대구광역시
| 1장
| 辛未[조선후기]
신미년 3월 23일에 유학(幼學) 김인락(金仁洛) 외 23인 작성한 통문이다.한강(寒岡) 정호(鄭逑)의 제자인 이들은 아직까지 정리되지 않은 제자들의 명부를 정리하기 위해 절목을 적어 한강 선생의 다른 제자들에게 통지할 목적으로 발문
-
1894년 나세유(羅世維) 외 18인 통문(通文) | 무릉박물관
창평향교(昌平鄕校, 수취), 고암서원(考巖書院, 발급)
| 1장
| 甲午(1894)
1894년 8월 중정(仲丁)에 전라북도 정읍에 위치한 고암서원의 유학(幼學) 나세유(羅世維) 외 18인이 창평 향교에 보낸 통문이다.고암서원에서는 도(道) 전체의 공의(公議)를 모아 광영당(光影堂) 정운증(丁運增) 선생의 의로운 행실
-
1894년 김대현(金大鉉) 외 26인 통문(通文) | 무릉박물관
백양사 도회소(白羊寺 都會所, 발급)
| 1장
| 甲午(1894)
1894년 8월 30일에, 유학(幼學) 김대현(金大鉉) 외 26인이 작성한 통문이다.문서에 따르면 정난공신 영성군(靈城君)의 후손이자, 문정공 하서(河西) 김인후(金麟厚)의 외손인 광영당(光影堂) 정운증(丁運增)은 조상의 훈업(勳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