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문서는 조선후기 강릉에서 조직·운영된 瀛湖九老甲會에 관한 내용을 수록한 첩이다.
영호구노갑회는 강릉의 사족 중에서 나이가 같은 9명이 함께 모여 결성한 同甲契의 일종이다. 어릴 때부터 한 마을에서 함께 자라며 교우했던 이들은 무신년 9월에 柄山의 帿亭에서 회합하여 계모임을 조직하였다. 계의 명칭 중 瀛湖은 강릉 지역임을 나타내고 九老는 구성원이 9명임을 나타내는 것이며 甲會는 동갑계임을 나타내는 것이다.
영호구노갑회첩은 서문과 계원의 명단으로 이루어져 있다. 서문은 계원의 일원인 權世熻이 작성한 것으로 무신년 9월에 동갑계를 결성하게 된 배경과 그 과정을 서술하였으며 자신들을 白居易의 회합에 비유하였다. 백거이는 만년에 刑部尙書로 치사한 후 자신을 香山居士라 자칭하고, 8명의 원로들과 함께 九老會를 결성하여 매양 서로 왕래하면서 풍류를 즐겼다.
계원의 명단은 모두 9명으로 성명과 생년간지, 字, 生月과 日字를 차례대로 기록하였다. 그 9명은 朴宗燁, 曹允愼, 蔡光福, 崔烒, 金顯鳴, 姜昌遇, 權世熻, 朴民天, 崔正彙이다.
박종엽은 임인년생으로 자는 致伯이고 2월 27일에 태어났고 조윤신은 계묘년생으로 자는 穉微이고 1월 21일에 태어났다. 채광복은 계묘년생으로 자는 綏之이고 4월 5일에 태어났고 최식은 계묘년생으로 자는 煙仲이고 7월 11일에 태어났다. 김현명은 계묘년생으로 자는 日休이고 4월 8일에 태어났으며 강창우은 계묘년생으로 자는 汝周이고 8월 18일에 태어났다. 권세흡은 계묘년생으로 자는 晦如이고 8월 26일에 태어났고 朴民天은 계묘년생으로 자는 而覺이고 10월 29일에 태어났으며 최정휘는 계묘년생으로 자가 宜仲이고 11월 20일에 태어났다.
이 중에서 제일 먼저 입록된 박종엽의 경우는 임인년 2월에 태어나서 입록된 자 중에서는 가장 연장자이다. 그리고 나머지는 모두 계묘년에 출생하였으며 태어난 달은 2월에서 11월 사이에 해당된다.
이 문서는 조선후기 강릉 사족들이 결성한 계의 한 단면을 볼 수 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同甲契에 대해서는 아직까지 크게 알려진 바가 없는데 이 문서를 통해서 그 실체를 살펴볼 수 있다는 점에서 지역사, 사회사적 사료로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