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세기 달성배씨(達城裵氏) 간찰(簡札)

ㆍ자료UCI: KNU+GWKSMC+KSM-XF.0000.0000-20200501.2019000250
URL
복사
복사하기
· 분류 고문서-서간통고류-서간 | 개인-생활-서간
· 작성주체 발급 : 달성배씨(達城裵氏)
· 작성시기 [19세기]
· 형태사항 25.4 X 30.4 | 1장 | 종이 | 한자 | 낱장
· 원소장처 원주 이정동
· 현소장처 원주 이정동

안내정보

이 문서는 19세기 달성배씨(達城裵氏)의 혼담에 관한 간찰이다.
내용을 살펴보면 수신인은 종질녀(從姪女)와 천곡(泉谷) 배계현(裴啓賢)의 아들과 혼인하려는 과정에서 배계현의 아들이 객지의 남의 집에 살았다는 이유로 의심하고 있었다. 이에 발신인이 배계현 집안과 학맥에 대해 이야기를 하며 의심할 필요가 없으니 깊이 헤아려서 결정하라고 하고 있다.

상세정보

이 문서는 19세기 達城裵氏의 혼담에 관한 간찰이다.
간찰은 書簡, 書信, 書札, 簡牘 등으로 부르며, 고문서 형태로 전해진다. 문집에 수록된 간찰은 '書'로 분류하여 수록하기도 하는데, '서'란 고문서 형태의 간찰이 문집에 수록된 것을 말한다. 간찰은 일반적으로 皮封과 내용으로 구성되고, 내용은 다시 本紙와 別紙로 구별할 수 있다. 흔히 간찰이라고 하는 것은 편지의 본문인 본지를 의미한다. 小紙, 胎紙 등으로도 불리는 별지에는 본지에 적기 어려운 구체적인 내용이나 보내는 선물, 은밀한 부탁이나 청탁 등이 기록된다.
간찰의 내용은 書頭, 候問, 自叙, 述事, 結尾로 나뉜다. 서두에는 보내는 사람과 받는 사람의 안부 인사를 적고, 후문에는 상대방의 안부를 묻는다. 자서에는 간찰을 보내는 사람 본인의 근황을 서술하며, 술사에서는 간찰을 보낸 이유를 적고, 결미는 간찰의 마지막 부분으로서 간단히 끝맺는 말과 날짜, 성명, 올림[재배(再拜)] 등의 항목을 순서대로 적는다.
이 간찰에는 피봉이 존재하지 않으며, 내지의 내용으로도 시기, 발신인과 수신인을 파악할 수 없다. 내용을 살펴보면 변고를 겪은 뒤에 직접 위문하지 못 하더라도 편지 한 장으로 대신하면 안되는데, 大祥날에도 이런 위문을 하니 죄송하다며 편지를 시작하고 있다. 위문하는 편지에 이런 말을 하면 안 되지만 수신인의 族姪인 普淵을 통해서 소식을 듣길 종질녀 혼담이 泉谷 裴啓賢의 집안과 있다고 하였는데, 객지에서 남의 집에 살았다는 이유로 의심스럽다는 얘기를 들었다고 하였다.
하지만 자신이 이 친구의 조상 내력을 잘 알고 있다고 하였다. 그의 8세조 慕庵公 弘重은 바로 牛溪 成渾의 문인이고, 6세조 省齋公 尙裒숭정연간에 절의가 있었던 沙溪 金長生의 문인이라고 하였다. 또 고조는 檜覺亭公으로 南塘 韓元震의 문인이고 그 증조 舜翼 西溪公渼湖 金元行의 문인이라고 하였다. 혼인하는 집안의 사위의 자질이 조금도 의심할 필요가 없고 집안도 좋으니 잠시 객지에서 의탁한 걸로 꺼릴 필요가 없다고 하였다. 그러니 깊이 헤아려서 결정하는 것이 어떻겠냐며 편지를 마쳤다.
간찰의 내용으로 볼 때 수신인의 종질녀와 천곡 배계현의 아들이 혼인을 하려고 하는 상황에서 수신인이 배계현의 아들이 객지에서 남의 집에 살았다고 의심을 하자 발신인이 신랑의 조상 내력과 혼사가 이루어지도록 설득하는 것임을 알 수 있다. 배계현 집안의 8세조 모암 배홍중에 관한 기록은 조선왕조실록 광해 즉위년 11월 25일 3번째 기사에서 스승 성혼의 신원을 상소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이 기록에서 배홍중은 前 西部參奉의 관직임을 알 수 있고, 달성이 본관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 문서가 작성된 시기는 달성배씨의 증조부 서계공 순익미호 김원행의 문인이었다는 점에서 파악할 수 있다. 김원행1702년(숙종 28)∼1772년(영조 48)의 인물이기 때문에 문서가 작성된 시기는 19세기로 짐작된다.
참고문헌
정진영, 조선후기 '간찰'자료의 존재형태, 역사와 경계 제102집, 부산경남사학회, 2017
최승희, 한국고문서연구, 지식산업사, 2015
김효경, 조선후기 간찰의 피봉(皮封) 서식 연구, 고문서연구 31, 고문서학회, 2007
이인숙, 조선시대 간찰의 문화사적 의의, 민족문화논총 제30집,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04
집필자 : 이인석

이미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