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04년 신석우(辛錫瑀) 성헌습유(醒軒拾遺)

ㆍ자료UCI: KNU+GWKSMC+KSM-WZ.1904.0000-20200501.2019000375
URL
복사
복사하기
· 분류 고서-기타 | 교육/문화-문학/저술-문집
· 작성주체 신범(辛汎, 1832-1873) 발급
· 판종 목활자본
· 발행사항 [발행지불명] : [발행처불명], 崇禎五甲辰(1904)
· 형태사항 목활자본 , 四周單邊, 半郭 2302x16.7 cm, 有界, 10行20字
2권 1책 ; 30.3 X 19.8 cm , 標題 醒軒拾遺, 內題 醒軒拾遺, 版心題 醒軒拾遺
· 원소장처 평창 영월신씨
· 현소장처 평창 영월신씨

연결자료

안내정보

1904년 간행한 평창 출신 醒軒 辛錫瑀(1781~1842)의 시문집이다.
목판 인쇄본으로 1책 2권으로 편제되었다. 아들 신범이 묶어서 만든 문집이나 신범이 간행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손자 辛翼集이 정리하였다. 1권에는 성헌자서(醒軒自序)와 시 25수, 2권에는 2편의 序와 4편의 記, 6편의 文, 4편의 說과 발문이 실려 있다. 서문은 신석우 본인이 지었고, 발문은 손자 신익집이 지었다.

상세정보

醒軒拾遺는 1904년 간행한 평창출신 醒軒 辛錫瑀의 시문집이다.
이 문집은 목판 인쇄본으로 총2권으로 편제되었으며 1책으로 편찬되었다. 아들 신범이 묶어서 만든 문집이나 신범이 간행하지 못하고 사망하자, 손자 辛翼集이 정리하였다. 1권에는 성헌자서(醒軒自序)와 시 25수, 2권에는 2편의 序와 4편의 記, 6편의 文, 4편의 說과 발문이 실려 있다. 서문은 신석우 본인이 지었고, 발문은 손자 신익집이 지었다.
1권의 시는 경포대 오언절구, 주문진에서 읊은 시, 臨瀛의 저자를 자나면서, 구룡연, 학유대, 무릉계, 백마봉, 청학동과 같이 경치 좋은 곳이나 감흥을 불러일으키는 장소에서 짓거나 퇴곡 우복서원과 같이 청학동에서 성묘를 마치고 지은 것도 있다. 신석우봉평에 거주하였는데 봉평1906년 평창군에 편입되어 현재에 이르고 있으나 이전에는 강릉에 속해 있었다. 따라서 신석우가 읊은 시는 강릉과 관련된 것이 많다.
2권에 실린 2편의 서문 가운데에 家乘序가 주목된다. 신석우가 가승을 정리하며 지은 서문으로 자손이 선조의 모범에 대한 기록을 강조하며 이를 기록하지 않으면 할아버지 때에 봉평의 산골짜기에 살면서 보존한 상황을 어찌 알겠느냐며 자손들은 공경히 계속 기록하라고 적고 있다. 기문 가운데 '五峰 風詠樓 중수기'는 풍영루가 강릉 오봉서원의 남쪽에 지어진 누각으로 1627년에 건립되었다가 퇴락하자 1836년 원의 임원을 뽑고, 토전 가운데 팔린 것을 다시 환수받는 등의 노력을 통해 중수했다는 내용을 기록하고 있다.
또한 '퇴곡 우복서원을 읊은 시', '丫湖書院을 알리는 글'을 통해 신석우가 평상시 본받고자 한 인물을 짐작할 수 있다. 퇴곡 우복서원은 강릉에 있던 愚伏祠를 이르는 것으로 鄭經世를 추모하기 위해 건립된 사우이며 퇴곡서원이라고도 한다. 정경세(1563~1633)유성룡의 문인으로 1586년 승정원부정자에 임명된 이후 여러 요직을 거치고 이조판서, 대제학 등의 관직을 거쳤다. 학문은 주자학에 본원을 두고, 이황의 학통을 계승하였다. 아호 신경진(1554~1619)신석우의 선조로 이이의 문인이다. 임진왜란 때 지평이 되어 왕을 호종하고, 평양에 가서 체찰사 유성룡의 종사관으로 활약하였다. 이후 대사헌에 오르고 청백리에 선정되었다.
신석우(1781~1842)는 본관이 영월이고, 자는 禹玉이다. 평창군 봉평에 살았으며 부친은 신기령(辛起寧)이다. 형 석행(錫荇)과 함께 1834년(순조 34)에 있던 사마시에 54세의 나이로 나란히 급제한 바 있다. 아들 신범(1832~1873)華西 李恒老의 문인으로 金平黙, 柳重敎, 徐應淳과 교유하였고, 향리인 봉평에서 `蓬壺齋'를 세워 후진양성에 힘썼다.
연도 내용 1781년 강원도 강릉부 원길촌(현 평창군 봉평면 원길리) 출생 1823년 아들 신범 출생 1825년 성헌습유(醒軒拾遺) 자서 작성 1826년 인제근민헌중수기(麟蹄近民軒重修記) 작성 1834년 순조 34년 갑오 식년시 생원 입격 1836년 오봉풍영루중수기(五峰風詠樓重修記) 작성 사망 추정(신범 나이 13세)
집필자 : 황은영

이미지